위키리크스와 SNS 사이에서

  질문은 다시 이렇게 정리가 가능하다.'구매체는 이 흐름에 어떻게 대응해야 되는가?' 그리고 이에 대한 대답은 매우 간단하게도 기본적인 개념의 '정론지'가 되는 것이다. 신매체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개방성과 상호작용성을 지닌다. 이것은 그들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었던 원동력인 동시에 치명적인 결점이기도 하다. 다양한 정보가 필터링 없이 범람하여 질은 보장되지 못하며, 직접 눈으로 앞에 존재하는 인쇄된 출판물이 아니기 때문에 수용자는 가볍게 그것을 넘기기 쉽다. 예컨대, 조회 수가 높은 기사에는 필연적으로 리플이나 트랙백과 같은 피드백의 기능을 통해 추가의 의견이 개입된다. 그리고 이것은 수용자로 하여금 기사 자체의 텍스트와 함께 또 다른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구매체가 인터넷 매체 보다 더 깊이 있는 담론을 생산 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인터넷 블로그의 글들을 열독하는 대신 책을 구입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 범위를 어림잡을 수 없을 정도로 인터넷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어디까지는 '파편화'되어 있다. 때문에, 이를 하나의 유기적인 담론으로 재구성해 낸 체계화된 책이나 지면신문과 같은 매체가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의 신속성이나 흥미성은 충족이 되었지만 그에 따라 오히려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담론을 찾기 힘들어진 까닭이다. 신문의 경쟁력은 이 지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돈을 주고 소유할 만한 가치가 있는 매체임을 자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언론들은 새로운 대응방식을 모색하기 보다는 점점 무협지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반면 SNS나 위키리크스 같은 현재 가장 뜨거운 매체들은 점점 정치와 사회 경제에 치명적인 플랫폼이 되고 있다. 만약 한국의 신문들이 지금과 같은 갈등적 구도와 과잉적 수사에만 치중할 경우 구매체의 가치는 가까운 미래에 사라지고 말 것이다. 스포츠 신문의 연예면이나 다를 바 없는 정치 기사들에게서 그 어떠한 '정통성'이나 '권위'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당장은 흥미가 떨어지고 생소하더라도, 장기적으로 돈을 내고 구입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프랑스의 <르 몽드>나 영국의 <가디언>을 '이 언론의 논조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돈을 내고 구입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권력과 자본에 독립적인, 공신력 있는 정론지’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흥미거리에만 치중한 무협지와 같은 기사들이 지양되어야 할 진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정론지' 형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사명감이나 언론윤리와 같은 추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당장 가까운 미래에 살아남기 위한 존속의 문제이다.


-ps 그럼에도 여전히 대안은 모호하고 애매하다 : 그런 언론을 정말 사람들이 바라기는 하는 걸까? 그런 언론이 등장한다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돈을 주고 구입할까? 이 질문에는 누구도 확답을 할 수 없다. 우리는 단 한 번도 권력과 자본으로 부터 독립적이며, 다수의 대중들이 인정하는 - 정론지를 가져본 일이 없기 때문이다.

Posted by 양피지조각
,